Wednesday, February 24, 2010

'개방'의 구글 vs '통제'의 애플


(By 한겨레 신문 - Feb, 2010)


구글 오픈소스, 집단지혜 장점 대신 표준화 어려워, 애플 전용 플랫폼, 폐쇄적이지만 최적 시스템 제공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된 시스템이 '집단의 지혜'를 발휘해 이길 것인가. 치밀한 관리와 통제로 '엄선된 최고'를 제공하는 폐쇄된 시스템이 승리할 것인가.
구글과 애플이 '개방'과 '폐쇄' 전략을 내세워 디지털시장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도 최근 구글 안드로이드폰이 출시돼 애플 아이폰과 경쟁이 시작됐다.
애플과 구글은 지난 몇 년 동안 제각각 마이크로소프트(MS)라는 공룡과 맞서 싸워온, 사이좋은 조력자였다. 애플의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는 2006년 애플 이사회에 구글의 최고경영자 에릭 슈밋을 영입해, 애플 경영진으로 활동하게 했을 정도였다. 하지만 애플과 구글은 사사건건 상대 영역을 침범하는 사업을 펼치면서 갈등관계가 됐다. 슈밋은 결국 지난해 8월 애플 이사직에서 물러났다.
둘은 지난달 6일 상대의 핵심영역을 겨냥한 '선전포고'를 했다. 구글이 직접 설계한 스마트폰 '넥서스원'을 출시하고 아이폰에 도전장을 던졌다. 애플도 이날 모바일 광고업체인 '쿼트로'의 전격 인수를 발표해 구글이 독식하는 시장을 내버려두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애플은 컴퓨터와 엠피3 플레이어를 위주로 한 하드웨어 기반의 업체였고, 구글은 인터넷 검색과 광고를 펼치는 소프트웨어 업체였다. 고유의 영역에서 혁신을 이뤄오며 상대를 칭찬해온 두 기업이 서로 칼끝을 겨누게 된 것은 세계 정보기술의 경쟁이 한 곳으로 수렴되는 현상 때문이다. 정보기술의 미래인 모바일 인터넷으로 가는 길엔 스마트폰이라는 외나무다리가 놓여 있다.
구글은 최근 '폐쇄적인 애플'을 '개방된 구글'이 이길 것이라고 공언했다. 구글은 넥서스원 출시 뒤 조너선 로젠버그 제품관리총괄 임원이 구글의 공식 블로그에 '개방의 의미'라는 글을 올렸다. 그는 "구글은 개방된 시스템이 결국 승리한다고 믿는다"며 "개방된 시스템은 소비자에게 더 많은 혁신·가치·선택의 자유를 주고, 기업엔 활력·이익·경쟁적 생태계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개방'과 '폐쇄'의 승부는 단순한 게 아니다. '개방'은 공유이며 다중의 참여이지만, 표준화의 어려움이 있고 혼란과 무질서라는 비용이 따른다. '폐쇄'는 관리와 책임의 다른 표현이며, 대부분의 성공적인 기업들이 걸어온 길이다. 컴퓨터 운영체제 시장에서 소스코드가 개방된 리눅스가 좀처럼 엠에스 윈도를 대적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를 말해준다.
구글은 세계 최대의 오픈소스 기여자로, 2000만줄에 이르는 프로그램 코드를 공개해 누구나 쓰고 개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구글의 지도·문서도구 등 대부분의 서비스는 무료이고, 포맷이 공개돼 있어 누구나 이를 사업화할 수 있다. 갈수록 구글의 지배력이 확대되고 있다.
애플의 스마트폰이나 운영체제는 닫혀 있다. 애플의 서비스를 쓰려면 애플 제품을 구입해야 한다. 맥 컴퓨터와 아이폰 운영체제, 앱스토어, 아이웍스 등은 애플 제품에서만 쓸 수 있다. 애플이 아닌 환경에서 쓸 수 있는 서비스는 동영상 재생기인 퀵타임 플레이어와 브라우저인 사파리 정도다. 자연히 이용자가 적다.
'개방'과 '폐쇄'는 구글과 애플이 선택한 사업전략이기 때문에 선악이나 우열의 잣대로 비교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애플은 하드웨어로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아우르는 전용 플랫폼을 통한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자신이 선택한 것만 제공한다. 애플 중심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선 앱스토어 개발툴(SDK)을 공개하는 개방적 모습을 띠기도 한다.
구글은 검색과 인터넷광고를 통해 수익을 내는 소프트웨어 업체이기 때문에 자신의 플랫폼을 확산시킬수록 이익이 된다. 개방과 무료는 핵심도구다. 전세계 모든 정보를 개방시켜 검색에 연결시키고 수익화하려는 구글에겐 개인의 사생활도, 저작권자가 불명확한 책도 '개방' 대상이다. 구글 버즈와 도서검색은 각국에서 논란을 부르며 소송과 규제에 휘말리고 있다.
스마트폰과 온라인 콘텐츠장터는 애플과 구글의 '폐쇄 대 개방' 전략이 불꽃튀는 최전선이다. 애플은 최고의 콘텐츠와 보상을 제공해 이용자와 개발자의 만족도를 높이겠다며 최종 소비자와의 접촉을 중시한다. 구글은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회사에 수익모델을 제시하는 매개자 활용 전략이다. 구글과 애플의 목적은 같다. 자신이 최대 수혜자가 되는 자기 중심의 생태계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방법이 다를 뿐이다. 둘의 경쟁은 누가 더 뛰어난 사용자 경험과 파트너 보상을 통해, 더 풍요로운 생태계를 만들어내느냐에 달려 있다.

Wisdom of the crowd

The wisdom of the crowd refers to the process of taking into account the collective opinion of a group of individuals rather than a single expert to answer a question. This process, while not new to the information age, has been pushed into the mainstream spotlight by social information sites such as Wikipedia and Yahoo! Answers, and other web resources that rely on human opinion. The process, in the business world at least, was written about in detail by James Surowiecki in his book The Wisdom of Crowds.

Tuesday, February 23, 2010

[정연주칼럼] ‘빵꾸똥꾸’ 2년, 역사의 축복


[정연주칼럼] ‘빵꾸똥꾸’ 2년, 역사의 축복
한겨레
» 정연주 언론인




역사란 무엇인가. 젊은 시절, 군부독재와 영남 패권주의가 참으로 견고했던 유신 때, 그 짙은 암흑의 역사 앞에서 자주 물었던 질문이다. 이 질문을 요즘 새삼스럽게 다시 하게 된다.
에드워드 핼릿 카는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저서에서 역사란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답했다. 그 관점에서 보면 ‘과거 사건들’은 현재의 눈을 통해 조명되면서 교훈과 지혜의 근원이 되고, 미래를 위한 등불이 된다. 그렇기에 실패와 패배, 불의와 참혹한 사건조차도 역사 진보의 씨앗, 낙관의 근거가 될 수 있을 터다.
지난 2년의 세월 속에 담긴 우리 역사는 어떠한가. 그 숱한 고난과 희생을 통해 이룩한 양심의 자유,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가 뒤집히고, 민주적 절차가 조롱을 받고, 다시 중세 야만의 시대가 된 듯 마녀사냥이 기승을 부려왔다.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정점으로 하여 법원의 무죄판결과 관련하여 빚어진 최근의 매카시즘적 광기까지 보면 검·언 복합체의 해체, 정치검찰과 조폭언론의 극복 없이 과연 사람답게 살아가는 기본 조건이 가능한가 하는 절박한 질문을 하게 된다.
그뿐 아니다. 경제와 교육 영역에서는 공동체 가치,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보다는 ‘효율’ ‘성장’의 이름으로 가진 자의 탐욕을 거침없이 풀어놓으면서 약육강식이 당연시되는 정글이 되어버렸다. 생명, 환경, 복지 그런 것은 뒷전으로 밀리고, 그 자리에 막가파 토목공사와 천박한 70년대식 개발주의가 기승을 부린다.
천박함, 경박함의 독 바이러스는 결코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되는 문화예술계까지 번졌다. 문화예술위원장이 두 명이 되어버린 이 기막힌 현실을 놓고, 사태를 그렇게 만든 장본인인 유인촌 장관이라는 사람이 “재미있겠는데…”라는 천박함을 드러냈다. 위아래 없이 경박, 천박하다.
지난 2년 동안 누적된 이러한 불의와 모순, 권력의 오만과 천박함은 앞으로 역사를 위해 극복하고 넘어서야 할 대상과 과제가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보여줬다는 점에서 역설적으로 참 ‘의미있는’ 세월이었다.
특히 세상에 눈을 뜬 시기 이후 줄곧 민주적 분위기와 가치의 세례를 받은 젊은 세대에게 지난 2년의 세월은 블랙코미디였지만, 아울러 정치적 깨우침을 가져다준 ‘생체험 학습현장’이었다. 김제동, 윤도현, 미네르바, 피디수첩 등의 사건들을 통해서 본 ‘이명박 2년’은 유연, 생기발랄, 신명, 단순함이 특징인 젊은 세대에게 너무나 어이없는 ‘빵꾸똥꾸’의 세월이었다.